본문 바로가기

100세 건강737

까맣게 태운 고기… ‘탄 부분’만 떼고 먹어도 될까? 까맣게 태운 고기, 어떻게 할 것인가?고기를 굽다 보면 의도치 않게 탈 때가 있다. 탄 부분만 떼고 먹으면 괜찮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정말 건강에 괜찮은 걸까?탄 부분 잘라도 발암물질 위험고기나 생선을 센불에 바짝 구우면 HCAs(헤테로사이클릭아민)이 발생한다. HCAs은 발암물질의 일종으로, 100도 이하에서는 거의 생성되지 않지만 200도를 넘어서면 생성되는 양이 3배 가까이 증가한다. 특히 야외에서 직접 불을 피워 고기를 구워먹으면 200도가 넘는 고온에서 조리될 가능성이 크다. 이때 HCAs가 많이 생성된다. 탄 부분을 잘라내도 고기에는 유해 물질이 남아있을 수 있다. 고기가 불꽃에 직접적으로 닿으면 발암물질인 PAHs(다환방향족탄화수소)가 발생할 수 있다. PAHs는 고기는 물론, 고기를 구울.. 2024. 7. 29.
“너무 많은 대장암”… 가장 나쁜 식습관은? 대장암에 나쁜 식습관은?불과 20~30년 전만 해도 대장암은 눈에 띄는 암이 아니었다. 지금은 한 해에 3만 3천 명에 육박하는 신규 환자가 쏟아지는 국내 최다 암 중의 하나다. 식습관의 영향이 가장 크다. 과거에 비해 고기 구이와 가공육을 비교적 자주 먹으면서도 꼼꼼하게 채소와 같이 먹는 사람은 많지 않다. 대장암이 왜 위암을 앞서게 됐을까?2021년에만 3만 2751명…50~60대 가장 많아보건복지부-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대장암은 2021년에 3만 2751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해 전체 암 중 2위(1위 갑상선암)를 차지했다. 남자는 1만 9142명, 여자는 1만 3609명이었다. 나이별로 보면 60대가 26.3%로 가장 많았고, 70대 22.3%, 50대 19.6%의 순이었다. 오랜 기간 나쁜.. 2024. 7. 29.
혈관 건강 좌우하는 사소한 생활습관 혈관 건강을 위한 생활습관혈관 건강은 전반적인 신체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관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생활습관 개선이 필수적이다. 특히 말초혈관질환은 초기 증상을 무시하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말초혈관질환의 주요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개선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말초혈관질환 증상 및 치료법말초혈관질환의 정의말초혈관질환은 몸의 말단으로 혈액을 운반하는 말초혈관에 이상이 생겨 팔과 다리에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대표적인 말초혈관질환으로는 대동맥폐색증, 하지동맥폐색증, 하지정맥류, 심부정맥혈전증 등이 있다.동맥폐쇄질환대동맥폐색증과 하지동맥폐쇄증은 대표적인 말초동맥질환이다. 대동맥과 하지동맥이 죽상동맥경화로 인해.. 2024. 7. 28.
아침에 ‘이 것’ 한 숟가락만 먹어도… 묵은 변 나온다 변비증상 완화에 도움되는 차전자피와 용융소금활동은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배변 활동이 잘되지 않으면 체내에 독소가 쌓이기도 하고 피부 건강에도 악영향을 준다. 특히 변비가 있으면 삶의 질까지 떨어지게 된다. 변비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과 도움이 되는 식품 차전차피와 용융소금에 대해 알아본다.변비의 증상과 원인먼저 대변은 우리가 섭취한 음식물 중 소화‧흡수되지 않은 찌꺼기와 장내 미생물 등이 충분히 쌓여야 몸 밖으로 배출된다. 사람마다 섭취하는 음식물 양이 다르기 때문에 변을 보는 횟수가 각각 다르다. 다만 일주일에 3회 이상 변을 보면서도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면 변비일 수 있다:과도하게 힘을 줘야 하는 경우잔변감이 생기는 경우인위적으로 항문에서 변을 빼내거나 회음부를 눌러야 하는 경우이 경우 병원을 .. 2024. 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