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61

A·B·C형만 조심? 이젠 'E형 간염'도 조심해야 E형 간염: 조용히 증가하는 위협과 예방 방법간염이라고 하면 보통 A형, B형, C형 간염을 떠올리기 쉽지만, 최근 급성 바이러스 간염의 원인 중 E형 간염의 비중이 점차 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자료에 따르면 매년 약 2000만 명이 E형 간염에 감염되며, 그 중 330만 명(16.5%)이 증상을 동반한 급성 간염을 앓고 있다. 7월 28일 '세계 간염의 날'을 맞아 E형 간염의 원인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자.1. E형 간염, 왜 생길까?E형 간염은 E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E virus)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간염이다. 주로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덜 익힌 돼지나 사슴 등의 육류를 섭취했을 때 감염된다. 또한, 일부 사례에서는 수혈이나 혈액제제를 통한 감염, 또는 모.. 2024. 8. 12.
통풍 증세 있으면 여름 치맥 즐기면 안 돼 통풍 환자가 치맥을 피해야 하는 이유최근 코로나19 팬데믹과 열대야가 겹치면서 집에서 시원한 '치맥'(치킨과 맥주)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치맥을 피해야 하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통풍 환자들이다. 통풍은 우리 몸속 요산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해 쌓이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특히 관절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통풍 환자들에게 치맥이 위험한 이유는 치킨과 맥주가 통풍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1. 통풍: 주로 엄지발가락에 생기는 질환통풍은 요산이라는 물질이 체내에서 과도하게 축적되어 발생한다. 요산이 혈액 내에서 농도가 높아지면, 이 요산이 결정체로 변해 관절에 침착되면서 염증과 통증을 일으킨다. 특히 통풍은 엄지발가락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이외에도 발등, 발목, 팔, 손가.. 2024. 8. 12.
코로나19 입원환자 급증: 여름 대유행 가능성과 대응 방안 코로나19 입원환자 급증코로나19 입원환자가 최근 4주 사이에 6배나 증가하며, 전문가들은 여름철 대유행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발표에 따르면, 8월 1주 차에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는 861명으로, 7월 2주 차의 148명에서 크게 증가했다. 이 수치는 입원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단순 확진자까지 포함한다면 실제 유행 규모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1. 입원환자 증가와 연령별 특징입원환자 중 65세 이상의 비율이 전체의 65.2%를 차지하며, 고령층이 이번 유행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호흡기 바이러스가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유행하지만, 최근 몇 년간 여름철에도 유행했던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여름에도 환자 수가 계속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한다. 이재갑 한림대.. 2024. 8. 12.
폭염 속 급증하는 감염성 식중독: 원인과 예방법 덜 익은 음식 먹고 설사·구토…폭염에 ‘감염성 식중독’ 급증올여름 폭염이 이어지면서 감염성 식중독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덜 익힌 닭고기나 오염된 달걀을 섭취한 후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주로 병원성 세균에 의한 장관감염증으로 나타난다. 특히 캄필로박터균과 살모넬라균에 의한 감염이 두드러지며, 이는 덥고 습한 날씨에서 더욱 기승을 부린다. 이번 글에서는 감염성 식중독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1. 감염성 식중독의 급증올여름 폭염이 지속되면서 감염성 식중독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덜 익힌 닭고기나 오염된 달걀을 섭취한 후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2024. 8. 11.
HIV 완치의 희망: 신이 내린 형벌을 극복한 7번째 사례 “신이 내린 형벌 극복한 7번째 인간 나왔다”...전세계 4천만명이 감염된 ‘이 질환’ 완치 길 열리나?최근 독일의 한 남성이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로부터 완치 판정을 받아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로써 그는 HIV 완치 판정을 받은 세계에서 7번째 사람이 되었다. 한때 '현대판 흑사병'으로 불리며 불치병으로 여겨졌던 HIV는 이제 의료 기술의 발전에 따라 관리 가능한 만성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1. HIV의 정체와 증상HIV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로, 인체 내의 면역세포를 공격하여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는 바이러스이다. 감염 초기에는 발열, 인후통,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이후 수개월 동안 무증상 잠복기를 거치게 된다. 이 잠복기 동안에도 바이러스는 체내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면역.. 2024. 8. 11.
퇴행성 관절염 극복사례: 손가락 관절염 치료와 관리 방법 손가락 퇴행성 관절염퇴행성 관절염은 나이가 들면서 많은 사람이 겪게 되는 고통스러운 질환이다. 특히 손가락 관절은 일상적인 활동에 매우 중요한 부위로,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과 변형은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하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로 증상을 완화하고 손가락 관절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손가락 퇴행성 관절염의 증상, 원인, 치료 방법 및 예방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고자 한다.1. 손가락 퇴행성 관절염의 정의와 증상퇴행성 관절염, 또는 골관절염(Osteoarthritis)은 관절의 연골이 점차적으로 손상되면서 발생하는 만성 질환이다. 손가락 퇴행성 관절염은 손가락 관절의 연골이 닳아 없어지고, 이로 인해 뼈가 서로 마찰되면서 통증, 부종, 관절의 경직 및 변형을 초래한다. 초기에는.. 2024. 8. 11.
즐거운 노년을 위한 건강관리: 100세 시대의 지혜 100세 시대, 즐거운 노년을 위한 건강관리인생의 황혼기에 들어선 노년은 더 이상 단순한 생의 마무리가 아니다. 오히려 삶의 새로운 시작이자, 더욱 깊이 있는 지혜를 쌓아가는 시기이다. 60세가 넘어서도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을 보내기 위해서는 어떤 태도와 생활 습관이 필요한지, 두 명의 할머니와 한 철학자의 이야기를 통해 살펴보자.두 명의 할머니 이야기: 선택의 중요성60세를 넘긴 두 명의 할머니가 있었다. 한 명은 인생이 덧없이 끝나가고 있다고 생각하며 젊음을 다시 찾기 위해 애인을 구하는 데 에너지를 썼다. 그러나 다른 한 명은 등산하기에 좋은 나이가 됐다고 생각하며 산을 오르기 시작했다. 그녀는 66세에 북미에서 가장 높은 산 중 하나인 휘트니 산(4,797m)을 올랐고, 91세에는 일본의 후지산(.. 2024. 8. 10.
유방암 자가검진: '두꺼운 이불 밑 구슬'을 기억하세요 유방암 초기 발견을 위한 자가검진유방암은 국내 여성암 중 가장 흔하며, 암으로 인한 여성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는 질환이다. 하지만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으므로, 평소 자가검진과 정기적인 병원 검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유방암의 초기 발견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유방암의 급증 이유와 현재 상황국내 유방암 환자는 급증하고 있다. 2000년 6,237명이던 유방암 환자는 2017년에는 26,534명으로 4.3배 증가했다. 2013년 이후로는 매년 2만 명 이상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증가의 원인으로는 서구화된 식습관, 비만, 늦은 결혼과 출산율 저하, 수유 감소, 이른 초경과 늦은 폐경 등이 있다. 또한, 건강 관리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면서 암 검진이 활성.. 2024. 8. 10.